반응형

프래그먼트 3

Android Fragment 다루기 - 3. Fragement 동적 제어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fragment를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래그먼트를 동적으로 제어함을써, 화려한(?) UI를 구사할 수 있는 점이 프래그먼트를 사용하는 큰 목적 중 하나 입니다. 이전에 만들어 놓은 예제에 이어서, 하단에 버튼을 하나 만들고, 이 버튼을 누르면 프래그먼트가 바뀌는 예제를 만드려고 합니다. 기존에 하던 방식과 동일하게 fragmentC를 생성해줍니다. 구분을 위해 다른 색상으로 만들어줍니다. 이제 버튼을 추가 합니다. 버튼에 대한 이벤트를 추가 시켜줍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현재의 fragment가 어떤 상태인지 알려주기 위해 isFragmentB라는 변수를 하나 생성해줍니다. 버튼이 눌리면, 현재의 프래그먼트가 어떤 것인지를 판..

Android fragment 다루기 - 2. Code에서 추가

저번 시간에 이어서, Code에서 직접 fragment를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번 강좌에서 말씀 드렸듯이, Code를 통하여 fragment를 붙이게되면, 동적인 제어가 가능해집니다. 즉, 화면에서 보이기와 감추기가 가능해집니다. 이를 이용하여 페이지 전환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강좌에서는 동적인 제어 이전에 간단히 fragment를 화면에 추가하는 방법까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 작성될 예제는 이전 강좌에서 만들었던 fragment 아래에 Code를 통하여 fragment를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구분을 위해서 색상에 차이를 두었습니다. Fragment의 레이아웃 XML과 Class를 만드는 방법은 이전의 방법과 동일합니다. 다만 XML에서 를 이용하여 ..

Android fragment 다루기 - 1.XML에서 추가하기

Fragment 개념이 다소 어려울 수도 있지만, 최근 거의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사항으로 천천히 살펴볼 예정입니다. 하나의 Activity에 여러개의 fragment를 이용하여 화면 전환 등의 UI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미 만들어진 fragement를 다른 activity에서도 재사용이 가능합니다. Fragment는 Activity와 유사하게 별도의 생명 주기와 별도의 이벤트에 의해 작동됩니다. 우선, Fragment를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고, 차후에 생명 주기와 이벤트 등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Fragment를 추가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XML에서 직접 추가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나, 동적 제어가 불가능합니다. 동적 제어를 위해서는 Code에서 Fragmen..

반응형